해운대구 지정문화재1 소개
안녕하세요.
해운대구 룸싸롱입니다.
오늘은 해운대구 룸싸롱과 함께 해운대구 지정문화재인 도평의사사 사왕지, 조서경 무과급제왕지, 동래부 동하면 고문서에 대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해운대구 지정문화재1
도평의사사 사왕지

- 종류 : 보물 제953호
- 시대 : 조선시대
- 소재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국립중앙박물관 보관)
조선 태조 5년 1396년 3월 7일에 왕이 조숭에게 가정대부 상의중추원사 도평의사사 등의 관직을 제수한 사령장이다. 양질의 장지에 6행의 초서체로 쓰여지고 연월 위에 <朝鮮王寶 >라는 옥새가 찍혀 있다. 조숭은 본관이 풍양이며 그 생존연대나 그밖의 행적은 알 수 없다. 그러나 고려에서 조선으로 왕조가 바뀌는 과도기에 중추원과 도평의사사의 중앙요직과 의주목사를 겸직하면서 군사기관의 특별임무까지 맡은 인물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 문서는 조선 초기의 관제 및 인사행정제도 연구와 새보 사용의 변천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이 문서는 조숭의 손자인 조서경의 <조서경무과급제왕지 >(보물 954호)와 함께 중1동 해운대병원 조성욱원장이 소장했다가 지금은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해운대구 지정문화재1 조서경 무과급제왕지

- 종류 : 보물 제954호
- 시대 : 조선시대
- 소재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국립중앙박물관 보관)
이 문서는 세종 17년 1435년 4월 20일 조서경의 무과급제를 증명하는 홍패왕지이다.홍패왕지는 나라에서 문무대과에 급제한 사람에게 주는 합격증서인데, 붉은 종이에 먹으로 급제한 사람의 성명, 성적 등의 등급을 기입하였음으로 <홍패 >라고도 하였다.
이 홍패왕지는 6행의 초서체로 쓰고 선덕 10년의 연호 뒤에 <국왕신보 >라는 새보가 찍혀있다.조서경은 본관이 풍양이고 그의 조부는 조숭, 부친은 조하이며 세종에서 세조때까지의 무신으로 벼슬은 장기현감에 이르렀다. 이 문서는 조선 초기의 관제 및 과거제도 연구의 중요한 자료 이며 옥새 사용의 변천을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조서경의 조부인 조승의 <조숭가정대부 상의중추원사 도평의사사사왕지 >와 함께 후손들이 소장하고 있다가 지금은 국립 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동래부 동하면 고문서

- 종류 : 부산광역시 지정 유형문화재 제24호
- 시대 : 조선시대
-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동)
1993년 12월에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4호로 지정되었다. 지금의 해운대구 일원은 조선시대때 동래부 동하면으로 이 고문서는 해운대 좌동의 경로당에서 보관되어 온 조선시대의 사회, 행정, 문화적 배경과 전통을 알 수 있는 면단위 고용문서로서 지역역사를 규명하는 귀중한 자료이며 조선후기 지방행정의 구체적인 내용을 알려주는 문서이다.모두 30책 470면으로 해운대구 좌동 경로당에서 발견되었다. 현재는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출처 해운대구청
해운대구 지정문화재1 소개 끝
홈으로
호빠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