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대구 지정문화재1

해운대구 지정문화재1 소개

안녕하세요.
해운대구 룸싸롱입니다.

오늘은 해운대구 룸싸롱과 함께 해운대구 지정문화재인 도평의사사 사왕지, 조서경 무과급제왕지, 동래부 동하면 고문서에 대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해운대구 지정문화재1

도평의사사 사왕지

도평의사사 사왕지

  • 종류 : 보물 제953호
  • 시대 : 조선시대
  • 소재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국립중앙박물관 보관)

조선 태조 5년 1396년 3월 7일에 왕이 조숭에게 가정대부 상의중추원사 도평의사사 등의 관직을 제수한 사령장이다. 양질의 장지에 6행의 초서체로 쓰여지고 연월 위에 <朝鮮王寶 >라는 옥새가 찍혀 있다. 조숭은 본관이 풍양이며 그 생존연대나 그밖의 행적은 알 수 없다. 그러나 고려에서 조선으로 왕조가 바뀌는 과도기에 중추원과 도평의사사의 중앙요직과 의주목사를 겸직하면서 군사기관의 특별임무까지 맡은 인물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 문서는 조선 초기의 관제 및 인사행정제도 연구와 새보 사용의 변천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이 문서는 조숭의 손자인 조서경의 <조서경무과급제왕지 >(보물 954호)와 함께 중1동 해운대병원 조성욱원장이 소장했다가 지금은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해운대구 지정문화재1 조서경 무과급제왕지

조서경 무과급제왕지

  • 종류 : 보물 제954호
  • 시대 : 조선시대
  • 소재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국립중앙박물관 보관)

이 문서는 세종 17년 1435년 4월 20일 조서경의 무과급제를 증명하는 홍패왕지이다.홍패왕지는 나라에서 문무대과에 급제한 사람에게 주는 합격증서인데, 붉은 종이에 먹으로 급제한 사람의 성명, 성적 등의 등급을 기입하였음으로 <홍패 >라고도 하였다.
이 홍패왕지는 6행의 초서체로 쓰고 선덕 10년의 연호 뒤에 <국왕신보 >라는 새보가 찍혀있다.조서경은 본관이 풍양이고 그의 조부는 조숭, 부친은 조하이며 세종에서 세조때까지의 무신으로 벼슬은 장기현감에 이르렀다. 이 문서는 조선 초기의 관제 및 과거제도 연구의 중요한 자료 이며 옥새 사용의 변천을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조서경의 조부인 조승의 <조숭가정대부 상의중추원사 도평의사사사왕지 >와 함께 후손들이 소장하고 있다가 지금은 국립 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동래부 동하면 고문서

동래부 동하면 고문서

  • 종류 : 부산광역시 지정 유형문화재 제24호
  • 시대 : 조선시대
  •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동)

1993년 12월에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4호로 지정되었다. 지금의 해운대구 일원은 조선시대때 동래부 동하면으로 이 고문서는 해운대 좌동의 경로당에서 보관되어 온 조선시대의 사회, 행정, 문화적 배경과 전통을 알 수 있는 면단위 고용문서로서 지역역사를 규명하는 귀중한 자료이며 조선후기 지방행정의 구체적인 내용을 알려주는 문서이다.모두 30책 470면으로 해운대구 좌동 경로당에서 발견되었다. 현재는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출처 해운대구청

해운대구 지정문화재1 소개 끝

해운대구 룸싸롱 해운대구 지정문화재1

홈으로

해운대구 룸싸롱 해운대구 지정문화재1

호빠야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