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대구유적1

해운대구유적1 소개

안녕하세요.
해운대구 룸싸롱입니다.

오늘은 해운대구유적1에는 해운대의 선황사, 운송재, 봉수대에 대해 한번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해운대구유적1

선황사

선황사
  • 시대 : 조선시대
  • 소재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1동 산98-2

우1동 산 98-2에 위치한 선황사는 임난공신 김희수공의 묘와 사당이 있는 성역이다. 김희수공은 임진왜란(서기1592년) 당시 왜적으로부터 동래성을 지키다 순절한 부사 송상현공을 비롯한 여러 공신중의 한분이며 난후 조정에서는 공의 충절을 추모하여 관직을 추서하고, 동래구 소재 충렬사에 여러 공신과 함께 배향했다.
1994년 4월 공의 충절과 유덕을 민족정기로 승화시키기 위해 묘역을 정화하고 신위를 모신 선황사를 건립했다.
매년 음력10월 둘째 일요일에 공의 업적을 기리는 제향이 봉행되고 있다.

해운대구유적1 운송재

운송재
  • 소재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로887번길 21-3

반송동 산7번지에 위치한 운송재는 임진왜란때 동래성에서 순절한 문덕겸공과 문세휘공 등 2위를 추모하는 제실이다. 광복후 1960년 ‘상의단’이라는 단소를 만들고 유림에서 쌍충계 를 조직하여 향사를 시작하였고, 현재의 건물은 1978년 구건물을 철거하고 이듬해 완공된 것이다.
매년 음력 4월14일 공의 업적을 기리는 제향이 봉행되고 있다.

해운대구유적1 간비오산 봉수대

간비오산 봉수대
  • 소재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1동 산111

설치연대는 확실치 않으나 고려말부터 갑오경장시까지(조선 고종 31년 1894년) 약 700여년간 해운포 일대에 침입한 왜적을 감시한 곳으로 부산에서 황령산 봉수대와 함께 가장 오래된 봉수대이다.
서쪽으로는 황령산 봉수대, 북쪽으로 기장의 남산 봉수대와 연락하는 경상좌도 간봉의 기점으로 도별장 한 사람 밑에 별장 6명, 감고 1명, 봉군 100명을 두고 경상좌도 수군절도사령에서 관장하였다고 한다.
봉수는 일명 봉화라고 하는데 현대적 통신수단이 발달되기 전 밤에는 횃불, 낮에는 연기를 신호로 변경지역의 안위를 중앙 또는 군기지에 알리는 군사적 통신수단으로 사용되었다.
현재의 봉수대는 1976년 10월 1일 새로이 축조된 것으로 화강석 지름 11m, 높이 1.2m의 규모로 원형 축대를 쌓고중간에 계단을 설치하였으며 상단에 오르면 중앙에 지름이 2m, 높이 60m인 연조 1구가 설치되어 있다.

출처 해운대구청

해운대구유적 소개 끝

해운대구 룸싸롱 해운대구유적1

홈으로

해운대구 룸싸롱 해운대구유적1

호빠야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